퇴직금 계산2 퇴직금 계산과 기준, 청구방법 Q&A와 함께 쉽게 이해하기 - 인문지기 안녕하세요 인문지기입니다. 오늘은 퇴직금의 지급 기준과 계산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지급기준 퇴직금을 받기 위해서 스스로 체크해보아야 할 사항은 2가지와 예외적인 2가지를 체크해 보시면 됩니다.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로를 하기로 하였고(소정근로시간) 1년 이상을 지속적으로 근로를 하였으면(휴직기간 제외) 지급 기준은 충족이 되었습니다. 거기에 다른 2가지는 내가 근로자인지 아니면 특수관계자인지와 퇴직을 했는지 여부입니다. 근로자는 임금을 목적으로 일을 하였으면 근로자로 여겨집니다.(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제2조 제1항) 반면, 가족의 일을 돕는 것은 임금을 목적으로 보지 않기 때문에 퇴직금을 받을 수 없습니다. 또한 퇴직금은 퇴직을 하는 당시에 지급하게 되어있습니다만 중간정산을 받을 수 있는.. 2023. 3. 1. 퇴직금, 퇴직급여제도의 비교와 쉬운 이해 - 인문지기 안녕하세요 인문지기입니다. 오늘은 퇴직금 제도에 도입과 변화를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퇴직금은 1953년부터 근로기준법에 의해서 처음으로 도입된 제도입니다. 국민연금(1988년)이나 건강보험(1977년) 보다 훨씬 역사가 오래되었습니다. 초기의 퇴직금 제도는 정년퇴직으로 인해서 돈을 받거나 퇴사를 하면 퇴직금을 주는 것이 아니라 해고당하였을 때 그 노동자의 생계를 위해서 주는 일종의 해고수당이었습니다. 하지만 퇴직금을 모두 받을 수 있었던 것도 아니었습니다. 당시에 퇴직금제도는 필수가 아닌 임의적인 제도였기 때문입니다. 강제성을 가진 제도가 된 것은 그 후 1961년 근로기준법의 개정으로 현재의 퇴직급여제도와 비슷한 체계가 잡히기 시작합니다. 30인이상의 사업장에서 1년 이상의 계속 근로를 한 노동자가 퇴.. 2023. 2. 27. 이전 1 다음